리눅스 마스터 2급 chapter 02(인터넷 활용)_02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
chapter 02(인터넷 활용)
- 네트워크 개념
-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
-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
(1) WWW(World Wide Web) 서비스 (웹 서비스)
- 프로토콜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합한 정보 검색 시스템
- 인터넷에 연결된 전 세계 컴퓨터의 모든 문서들을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컴퓨터 환경에서 검색이 가능하게 해줌
-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
- 분산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함(1대의 서버에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음)
- 1989년 CERN(유럽입자 물리학 연구소)에서 하이퍼텍스트가 시작되었으며,
1990년 WWW라는 넥스트 플랫폼용 브라우저가 공개됨
- 표준 웹 프로토콜(HTTP, XML, SOAP, WSDL, UDDI)을 기본으로 하여
서로 다른 개발 환경과 운영체제에서도 상호 통신이 가능
- 다양한 웹 브라우저들이 있음
(2) 메일 서비스
- 전자 메일 시스템은 컴퓨터 사용자끼리 편지를 주고받는 서비스
- MTA(메일 서버에 메일을 전달), MUA(메일을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),
MDA(수신자 메일 박스에 메일 전달)로 구성
-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송신은 SMTP(메일발송/서버간 메일교환),
수신은 POP3 or IMAP4(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사용자 컴퓨터에서 확인) 를 이용
- MIME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)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을 위한 표준,
멀티미디어 데이터를 ASCll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전자 우편으로 송신하기 위한 SMTP의 확장 규격
(메일 송신 프로토콜)
(3) FTP 서비스(파일전송 프로토콜)
- FTP(File Transfer Protocol) TCP/IP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트 간의 파일 복사를 위한 프로토콜
- 통신 모드 : 패시브 모드(passive mode: FTP 서버가 지정한 포트로 클라이언트가 트래픽 송수신) /
액티브 모드(active mode :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포트로 FTP 서버가 트래픽 송수신)
- 사용 포트 : 20번(일반 데이터 전송용), 21번(제어 데이터 전송용) 포트
- FTP는 사용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들의 접속과 익명(anonymous)의 로그인 허용
(4) DNS(Domain Name System) 서비스
- 호스트 이름을 기반으로 IP 주소로 변환(또는 조회) 하거나
IP 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/조회 시켜주는 프로토콜
- DNS에서는 도메인명을 분산된 트리 형태의 계층적 구조로 관리
- 일반 최상위 도메인(generic top-level domain, gTLD)은 특정한 조직 계열에 따라 사용
- 도메인 길이는 3글자 이상, 조직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이름이 다름
(5) Telnet와 SSH 서비스
-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 실행/파일 복사 등을 제공
- 사용자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 관리/파일 편집 등을 Text 모드 환경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결과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
- Telnet은 서버와 주고 받는 정보를 Byte 스트림 형식으로 전송
- SSH는 DES,RSA 등의 암호화 기법을 사용해서 전송/ 압축 기술 제공
(6) NFS(Network Fiile System)
- 네트워크 기반에 다른 시스템과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/서버 프로그램
- 1984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사에서 개발
- 원격지에 있는 리눅스 서버의 특정 디렉터리를 로컬 시스템의 하위 디렉토리 처럼 사용 가능
-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자신의 디렉터리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음
- Portmap이 먼저 수행되어 있어야만 NFS 서비스가 실행됨
- Portmap은 NIS, NFS 등 RPC(Remote Procedure Call) 연결에 관여하는 데몬
- NFS 서비스는 nfsd, rpc.mounted, rpc.statd, rpc.rocked, rpc.rquotad 데몬들이 구동됨
(7) RPC(Remote Procedure Call)
- 동적으로 서비스와 포트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
- 기본적으로 포트와 서비스가 정적으로 구성될 때는 /etc/services 파일을 참조
- 동적으로 포트를 할당 받아 사용할 때는 RPC인 rpcbind(SUN에서는 sunrpc)를 사용
-다음 포스팅-
리눅스 마스터 2급 chapter 02(인터넷 활용)_03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
-이전 포스팅-
리눅스 마스터 2급 chapter 02(인터넷 활용)_01 네트워크 개념>(4)IP주소와 도메인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♥, 구독, 댓글,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!!